관리 메뉴

초코파이떡

[여성건강간호학] <임신기 여성> 1장 태아 건강사정 - 태아발달 본문

간호학과 3학년/여성건강간호학Ⅱ

[여성건강간호학] <임신기 여성> 1장 태아 건강사정 - 태아발달

초코파이떡 2023. 6. 22. 09:37
728x90

수정

1. 개요

[과정] 생식세포 형성 → 배란 → 수정 → 착상

인간의 생명은 생식세포인 난자와 정자의 만남에서 시작

수정 후 3단계(전배아기, 배아기, 태아기)를 걸쳐 성장

 

① 수정 : 난자와 정자의 핵이 만나 융합하는 것

 

②-1 전배아기(preembryonic stage)

- 수정~14일 또는 마지막 월경 첫날(LMP, last menstrual period)부터 4주

- 세포분열, 배포형성, 배아막 초기 형성, 원시배엽 형성

 

②-2 배아기(embryonic stage)

- 수정 후 15일~8주, 배아의 길이 약 3cm
- 모든 주요 기관이 형성되는 중요한 시기 → 바이러스, 약물, 감염 등 환경요인에 취약

 

②-3 태아기(fetal stage)

- 수정 후 9주~ 분만까지, 신체적 구조와 기능의 완성

 

③ 임신기간
[LMP ~ 출산일] → 10개월(40주, 280일) 또는 [LMP ~ 출산일 - 2주] → 9개월 + 2주(38주,266일)

 

2. 생식세포 형성과정

세포분열의 2종류은 유사분열(mitosis)과 감수분열(meiosis)

생식세포는 감수분열을 통해 분열 → 염색체 수는 n[반수체, 23개]
난자와 정자가 결합하여 수정된 접합자(zygote) → 염색체 수는 2n[이배체, 46개]


① 난자의 발생(oogenesis)과 성숙
태생기에 난소(ovary)의 난포 내에서 발생

[성숙] 난원세포 → 1차난모세포 → 2차난모세포 → 성숙난자(보통 염색체[22개] + X 성염색체[1개]) 1개

* 난원세포(oogonia)
- 태생기 생성, 세포분열을 통해 1차난모세포로 존재

1차난모세포(2n) → 출생[200만개]부터 사춘기[약 40만]까지 휴지기
* 2차난모세포
- 사춘기 이후 매 월경주기(배란 직전)마다 1차 감수분열을 통해 형성

⇒ 2차난모세포(n, 반수체) + 제1극체(1개)

* 성숙난자

- 배란 시 2차 감수분열이 시작되어 수정 과정에서 완전한 성숙난자로 발달
- 수정이 될 때까지 2차 감수분열이 완전하지 못함

⇒  접합자(2n, 성숙난자와 정자 결합) + 제2극체(2개) → 3개의 극체는 분해

 

② 정자의 발생(spermatogenesis)과 성숙

태생기에 고환(testes)의 정세관에서 발생

[성숙] 정원세포 → 1차정모세포 → 2차정모세포 → 정세포(보통 염색체[22개] + X 또는 Y 성염색체[1개]) 4개
* 정원세포(spermatogonium)
- 태생기에 형성, 출생후 사춘기까지 휴지기

* 1차정모세포

- 사춘기 이후 세포분열을 통해 형성 ⇒ 1차정모세포(2n)

* 2차정모세포

- 1차 감수분열을 통해 형성

⇒ 2차정모세포(n, 반수체) + 2차정모세포(n, 반수체)

* 정자세포

- 2차 감수분열을 통해 각각의 2차정모세포가 2개로 나누어짐

⇒ X 성염색체를 지닌 정자 2개 + Y 성염색체를 지닌 정자 2개 → 성숙한 정자 4개

 

③ 난자 
매달 배란 시 성숙한 난포가 터지면서 하나의 난자가 난소 밖으로 나옴
* 난소의 이동

- 난소는 스스로 움직일 수 없음

[고농도의 에스트로겐] 난관의 운동성 증가

[난관채내 섬모] 난자를 난관으로 끌어들임
* 난자의 방어막(보호층)
[외측] 방사관, 가늘고 긴 세포로 구성

[내측] 무세포성 막, 두터워지면서 투명대(zona pellucida)로 발달

* 수정능력

- 배란 후 24시간, 정자를 못 만날 시 퇴화하고 흡수됨

 

④ 정자

사정 시 정액(약 3.5mL) 내의 정자가 질내로 들어감
- 길이 60µm의 올챙이 모양으로 머리, 몸체, 꼬리로 구성

* 정자의 이동
- 꼬리의 편모운동으로 분당 2~3mm의 속도로 이동

- 질내 산성도에 따른 운동성 차이가 있음 → [약산성-속도 느림] [알칼리성-속도 빠름]

- 보통 4~6시간 후 수정 장소인 난관에 도달
* 생존능력

- 여성의 생식기 내에서 약 2~3일, 대부분 질내에서 사멸

* 수정능력

- 사정 후 4~5시간이 지난 후 수정능력 획득

 

3.  수정 conception

난자와 정자가 하나로 결합 즉, 난관의 팽대부에서 접합자의 형성 → 임신의 시작점

①  정자의 수정능력 획득

정자의 머리를 보호해주는 막의 제거 → 작은 구멍 → 히알루론산분해효소 분비

히알루론산분해효소 : 난자의 보호층인 방사관과 투명대를 뚫고 들어갈 수 있도록 돕는 용해효소


② 투명대 반응(zona reaction)

한 정자가 난자를 둘러싸고 있는 막을 통과 시, 난소의 투명대의 성질이 변하여 다른 정자의 침입을 방지하는 것

 

③  접합자 형성

2차난모세포의 2차감수분열이 완전히 끝남 → 난자핵은 여성전핵, 정자의 머리는 남성전핵, 정자의 꼬리는 변성

여성전핵과 남성전핵의 융합으로 새로운 개체인 접합자를 형성

⇒ 염색체의 수는 2n(46개)

⇒ [남자] Y 성염색체를 지닌 정자에 의한 수정 or [여자] X 성염색체를 지닌 정자에 의한 수정

 

4. 난할과 착상

① 난할(cleavage)
단일 세포인 접합자의 유사분열

접합자가 난관을 지나 자궁으로 옮겨가는 동안 일어남 [3~4일]

접합자는 나팔관의 섬모운동과 연동운동에 의해 난관을 지남
빠르게 분열하며 크기가 증가하지 않고 나눠짐 → 분할세포(난할구, blastomerus, 각각의 작은 세포) 형성

* 오디배(상실배, morula)
- 16~32 세포기로 투명대로 둘러싸여 계속 분할 → 주머니배 형성
* 주머니배(포배, blastula)

[속세포덩이(내세포괴, inner cell mass; embryoblast] 안쪽층, 이후 배아로 발달

[영양막(영양배엽, trophoblast)] 바깥층, 이후 융모막으로 발달

[주모니배공간(포배강, blastocoel)] 분할세포 내 빈 공간

- 줄기세포(stem cells)는 주머니배의 속세포덩어리에서 만들어짐

 

② 착상(implantation)

주머니배가 자궁 내벽에 파묻히는 현상

* 융모막융모(chorionic villi)

- 융모막(chorion, 영양막에서 발달)의 표면에 있는 융모

[세포 분해효소]

모체의 모세혈관 침투 및 융합 → 소와가 형성되고 모체의 혈액이 고임 → 주머니배의 영양분과 산소 공급 및 탄산가스와 노폐물 처리

[융모생식샘자극호르몬(hCG, human chorionic gonadotropin)]

- 황체기능을 유지하여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의 분비 자극

→ 임신 동안 배란과 월경이 일어나지 않음

[착상 출혈] 착상 시 융모막과 접한 모체조직의 상처로 인한 출혈

* 탈락막(decidua)

주머니배가 착상한 자궁내막
[바닥탈락막(기저탈락막, decidua basalis)] 주머니배와 직접 닿은 자궁내막
[피포탈락막(decidua capsularis)] 주머니배를 덮고 있는 자궁내막
[진성탈락막(decidua vera)] 그 외 나머지 자궁내막
- 융모막융모 중 바닥탈락막과 접한 부위를 제외한 다른 부위의 융모는 사람짐

- 바닥탈락막과 접하는 융모는 점점 증식하여 번성융모막이 되며 나중에 태반(placenta)이 됨
- 태아가 자궁강을 꽉 채우면 피포탈락막과 진성탈락막은 서로 융합됨

 


배아와 태아부속물

 

 

1. 개요

① 배아기(embryonic period)

- 수정 후 15일~8주, 길이 약 3cm

- 인체의 모든 주요기관과 외형이 형성→  8주 말쯤 거의 인간의 형태를 갖음
- 바이러스, 약물, 감염 등 환경요인에 의해 심한 기형이 초래될 수 있음

 

② 배아판(배아원반, embryonic disk)

속세포덩어리의 원반형 모양, 수정후 8일 경

- 배아의 모든 조직과 기관이 성장, 3배엽으로 구성

[외배엽(ectoderm)]

- 배아판의 위층, 양막강 형성

- 피부, 선, 손톱, 머리털, 중추 및 말초신경계, 눈의 렌즈, 양막 형성

[중배역(mesodrem)]

-배아판의 중간층

- 뼈, 치아, 근육, 결체조직, 심혈관계, 비장, 신장 형성

[내배엽(endoderm)]

- 배아판의 아래층, 난황주머니 형성

- 호흡기계, 소화기계, 요관, 방광, 질의 상피, 폐 등

 

2. 난막 Oolemma

난세포를 둘러싸고 있는 비세포성 막

 

① 융모막(chorion)

- 난막의 외측, 주머니배의 영양막에서 발달하는 불투명한 막

- 융모막 표면에 융모가 있음

[융모(chorionic villi)]

- 융모는 기저탈락막으로 파고 들어가 크기가 증가되고 기저탈락막과 합해져서 태반으로 발전

- 피포탈락막 쪽 융모는 위축되고 퇴화되어 매끄러운 평활융모막으로 남게 됨

 

② 양막(amnion)

- 난막의 내측, 주머니배의 속세포덩어리 중 외배엽에서 생성

- 양막강이 형성되고 그 안쪽으로 양수가 채워짐

[양막강(amniotic cavity)]

- 속세포덩어리와 영양막 사이의 공간, 양수가 채워짐

- 배아의 등쪽을 덮으면서 커져 배아를 둘러싸고 탯줄과 태아면 측의 융모막을 덮고 있음

- 임신 3개월 이후 양막이 융모막과 닿게 됨

 

3. 양수 Amniotic fluid, AF

양막 안쪽의 무색·무취·투명한 액체, 임신 말기에 약간의 노르스름한 색을 띰

- 주로 삼투압에 의해 모체혈액에서 형성, 태아 유래의 성분(호흡기계, 위장관에서 분비)이 포함됨

- 태아가 삼키기도 하고 태아의 폐를 출입하기도 함

- 11주부터 태아가 양수에 소변을 보게 되어 양수의 양이 증가됨

 

① 특징

- 비중 : 1.007~1.025, 물에 가까움

- pH : 7.0~7.25, 중성이거나 약알칼리성

 

② 양수의 양

- 태아 안녕상태를 사정하는 중요 요인

- 임신 10주에 30mL, 임신 말기에 700~1,000mL

[양수과소증(oligohydramnios)]
- 양수의 양이 500mL 이하, 태아 신장의 이상

[양수과다증(polyhydramnios)]

- 양수의 양이 2,000mL이상, 태아의 위장계 또는 다른 기관의 기형과 관련

 

③ 양수의 기능

- 태아의 균형 잡힌 성장과 발육을 도모

- 체온 유지, 구강액의 근원, 노폐물 저장, 수분과 전해질 균형

- 윤활액(태아 움직임, 근골격계 균형), 보호(외부 충격, 양막과 뒤엉킴) 

 

④ 양수 구성

- 알부민, 요산, 요소, 크레아티닌, 레시틴, 스핑고미엘린, 빌리루빈, 과당, 지방, 백혈구, 단백질, 상피세포, 효소, 솜털 등

* 양수천자(amniocentesis)

태아에 대한 정보 제공
[염색체 수와 구조]

- 태아의 성(sex), 건강상태, 성숙 정도 등

[레시틴(lecithin)과 스핑고미엘린(sphingomyelin)]
- 폐포 표면장력의 크기변화를 조절해주는 계면활성제(폐포허탈 방지)

- 두 인지질의 비율(2 : 1)은 태아의 폐성숙도 정도를 결정

 

4. 난황주머니; 난황낭 Yolk sac

양막이 형성되는 시기에 또 다른 주머니배공간이 배아판 다른 편에 형성

① 영양 공급[2~3주 동안]

- 자궁과 태반 사이에 순환이 이루어질 때까지

② 혈액세포 생성[6주 동안]

- 간에서 조혈기능 이루어질 때까지 

③ 최초의 소화관

- 난황낭의 일부가 원시적 소화기관의 부분 형성

④ 분리 및 퇴화[5~6주 경]

- 소화관 중간 부위에서 떨어져 나가 배아에서 분리되어 점차 소실

 

5. 탯줄; 제대 Umblical cord

태아와 태반을 연결하는 생명선

① 특징

- 5주경에 만들어져 태아와 모체의 물질교환이 일어남

- 3개의 혈관으로 구성되며 통각수용기가 없음

- 임신말기 탯줄의 지름 1cm, 길이 30~90cm(평균 55cm)

- 1분에 약 400mL의 혈액이 통과

① 혈관

[동맥(2개)] 태아의 정맥혈이 모체에게 전달

[정맥(1개)] 모체의 동맥혈이 태아에게 전달

- 와톤젤리(Wharton's jelly)에 둘러싸여 지지됨, 혈관의 압박을 막음

- 탯줄보다 길어 탯줄 표면에 결절을 만듦 → 태아 순환에 위험 초래할 가능성 있음

 

6. 태반 Placenta

① 구조

- 착상 시부터 태반 형성이 시작되어 임신 12주 경 완성

- 수정 3주째 융모막융모의 영양막세포가 기저탈락막을 계속 침투하여 형성

* 융모막융모

- 외층의 합포체 영양막(모체면)과 내층의 세포체 영양막(태아면)으로 구성

- 모체의 혈액과 태아의 혈액이 서로 섞이지 않도록 융모간강(intervillous space)을 형성

- 태반분엽(cotyledon) : 탈락막을 보호하기 위해 분리된 막, 15~20개 정도로 구분

 

②-1 <역할> 내분비 기능

초기에 임신을 유지하고 태아의 상태를 유지하는데 필요한 호르몬을 생산

* 융모생식샘자극호르몬(hCG, human chorionic gonadotropin)

[임신 유지]

- 황체의 기능 유지하여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 분비

- 13주 부터 태반이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을 분비 → 황체 퇴화

- 임신 60~70일(2~3개월)에 최고량에 도달 → 점점 감소 → 산후 1주에 사라짐

- 임신 초에 유산 방지, 입덧의 원인, 임신기간 동안 무배란 및 무월경 유지

[임신여부 진단]

- 수정 후 8~10일(착상) 후 모체혈청과 소변에서 발견

* 태반락토젠(hCS, human chorionic somatomammotropin; hPL, human placental lactogen)

- 수정 후 3주에 모체혈액에서 발견, 임신기간 동안 증가 → 산후 2주에 사라짐

- 모체의 신진대사 촉진하여 태아 성장에 필요한 영양 공급

- 인슐린에 저항하여 태반의 막을 통과하는 당의 이동을 촉진 → 균형이 깨지면 임신성 당뇨 유발

- 수유 준비를 위해 유방 발달을 촉진

* 프로게스테론(progesterone)

- 황체에서 분비, 임신 13주부터 태반에서 분비되어 32주에 최고량

- 자궁내막 유지, 자궁수축 저하 → 태아의 성장 도움

- 유방의 포상조직(alveoli tissue) 발달과, 모체의 신진대사 촉진

* 에스트로겐(estrogen)

- 7주부터 황체에서 분비, 임신 13주부터 태반에서 분비되어 임신말기까지 지속적으로 증가

- 자궁성장과 자궁-태반 혈류를 자극, 자궁근육의 수축 자극

- 유방의 선조직(glandular tissue)을 증식

[Estriol 측정]

- 태반 기능사정 지표, 수치는 임신말기까지 지속적 상승

 

②-2 <역할> 대사 기능

모체-태반-배아의 혈액순환은 심장이 뛰기 시작하는 17일째부터 이루어짐

* 호흡

- [산소→] 모체혈관-태반의 막-태아혈액 [←이산화탄소]

- 폐는 있으나 기능하지 않고 태반이 그 기능을 대신함

* 영양

- 탄수화물, 단백질, 칼슘, 철분을 저장 및 공급

[단순확산(simple diffusion)] 고농도→저농도

- 산소, 이산화탄소, 일산화탄소, 수분, 요소, 요산

- 대부분의 약물들과 대사물질들

[촉진확산(facilitated diffusion)] 운반 단백질

- 포도당

[능동적 수송(active transport)] 저농도→고농동

- 아미노산, 수용성 비타민

- 미네랄(칼슘, 철, 요오등)

[흡수작용(pinocytosis)] 세포표면의 함몰

- 모체의 IgG와, IgA의 일부 → 수동 면역

- 알부민

* 배설

- 태반막을 통해 모체혈액으로 이동, 모체의 신장으로 통해 배설

 

②-3 <역할> 면역 및 보호 기능

[수동 면역]

- 모체의 감마글로불린이 태반의 세포흡수작용을 통해 태아에게 전달

더보기

태반막의 손상

- 태아의 적혈구가 모체순환으로 누출 → (모체) 태아 적혈구에 대한 항체 형성

- Rh-임부가 Rh+태아를 임신했을 때 태아적아구증이 발생되기도 함

[태아적아구증]

- 산모와 신생아 간의 혈액형의 부적합에 의한 항원-항체 반응의 결과

- 모체의 면역글로불린 G 항체가 태아 순환기에 존재하는 적혈구를 공격

- 혈액 속에 적아세포(유핵 적혈구, erythroblasts)가 증가하고 빈혈증(anemia)과 황달을 동반한다.

[김염]

- 바이러스, 일부 세균과 원충류, 약물이 태반을 통과

- 일부 세균과 원충류는 태반에 처음 감염된 후 태아에게 감염 일으킴

[방어]

- 태아에게 일부 해로운 물질이 통과되지 못하도록 방어하기도 함

더보기

태아발달에 영향을 치는 유해요인

Aminopterin, Androgens , Angiotensin-coverting enzyme inhibitors(ACE-I), Carbamazepin, 흡연, 코카인

Coumarin anticoagulants, Cytomegalovirus, 에탄올(1잔 이상/일), Etretinate, 고열, 요오드, 이온화된 방사능(>10라드)

Isotretinioin, 납, Lithium, Methimazole, Methylmercury, Pavovirus B19, Pemicilliamine, Phenytoin, Radioiodine

풍진, 매독, Tetracycline, Toxoplasmosis, Trimethadione, Valproic acid, Varicella(수두)

③ 태아순환

- 태반의 기능은 모체혈액순환에 의해 좌우(혈관, 혈압, 자세, 자궁수축 여부 등)

- 태아순환의 방해 요인 → 모체혈압과 심박출량 감소 → 자궁혈류 감소 → 배아 또는 태아에게 혈액 공급을 하지 못함

- 자궁순환의 감소는 태아성장을 억제하여 재태기간보다 더 작은 신생아를 분만하게 함

* 임부의 자세

- 등을 바닥에 두고 반듯이 눕기 → 자궁이 하대정맥을 압박 → 우심방으로 되돌아오는 혈액량 감소

- 휴식 시 옆으로 누으면 적절한 혈액순환이 이루어짐

* 임부의 운동

- 과도한 운동 → [혈류] 자궁<근육 → 태아순환에 위협

* 브랙스톤 힉스(Braxton-Hicks) 수축

- 산모가 느낄 수 있는 불규칙적인 자궁 수축

- 융모간강을 통한 혈액의 이동을 촉진

 

 

3. 태아 Fetus

수정 후 9주~ 분만까지

구조와 기능이 성숙되는 시기로 급격한 변화는 없음

중추신경계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제외하고는 기형 유발물질(teratogens)에 덜 취약함

* 생존력(viability) : 태아가 자궁 밖에서 살 수 있는 능력

- 현대 의학기술의 발달로 임신 20주에 태어난 신생아도 생존이 가능

- 중추신경계 기능과 페의 산화능력에 따라 다름

 

①-1 <태아의 성숙> 심맥관계

- 태아 발달과정에서 가장 먼저 기능하는 기관은 심맥관계

- 임신 2주경 난황낭에서 모체의 산소와 영양을 배아에게 공급

- 임신 5주경 심장이 박동, 초기 심맥관계는 배아, 결합경(connecting stalk), 융모막, 난황낭과 연결

- 4~5주경에 심장은 4개의 방으로 발달 → 말기에 완벽하게 발달

- 폐는 가스교환의 호흡작용을 하지 않고 특별한 순환통로인 동맥관(ductus arteriosus)이 폐를 우회

* 태아의 혈액순환

- 1개의 탯줄정맥이 산소가 풍부한 혈액을 공급 받아 태아의 복부 속으로 들어감

- 일부는 간을 통해 나머지는 하대정맥을 지나 정맥관으로 들어감 → 이산화탄소가 함유된 혈액이 합류(다리와 복부 순환)

- 우심방으로 들어와 난원공(foramen ovale)을 통해 좌심방, 좌심실로 들어감

- 상행대동맥을 통해 산소가 풍부한 혈액을 공급(심장, 머리, 목, 팔)

- 순환을 마친 정맥혈이 상대정맥을 통해 우심방, 우심실로 들어감

- 대부분 동맥관을 지나 하행대동맥으로, 일부는 폐동맥으로 들어감

- 하행대동맥으로 들어간 혈액은 복부대동맥의 내장골동맥을 지나 탯줄동맥을 통해 태반으로 되돌아옴

태반 → 탯줄정맥 → 정맥관 → 하대정맥 → 우심방 → 난원공 → 좌심방 → 좌심실 → 대동맥(상행) → 머리와 상지 → 상대정맥 → 우심방 → 우심실 → 폐동맥 → 동맥관 → 대동맥(하행) → 다리와 몸통 → 제대동맥 → 태반

* 태아의 특성

- 태아의Hb은 모체의 Hb보다 20~30% 이상의 산소를 운반

- 태아의 Hb 농축은 모체보다 약 50% 더 높음

- 태아심박수(FHR, fetal heart rate)는 120~160회/분, 태아 심박출량은 성인보다 더 높음

 

①-2 <태아의 성숙> 조혈계

[임신 3주경] 조혈작용(hematopoiesis)이 난황낭에서 이루어짐

[임신 5주경] 간에서 조혈줄기세포(hematopoietic stem cell)가 발생 → 6주경 조혈작용 시작

[임신 6주경]

- 간에서 조혈작용 시작

- 적혈구에서 혈액형 결정 항원이 나타남 → Rh-임부는 늦어도 6주 이전에 동종면역(isoimmunization)을 예방

[임신 8~11주경] 태아의 골수, 비장, 흉선, 림프절에서 줄기세포가 생성

 

①-3 <태아의 성숙> 위장계

임신 36주 이후 완성, 신생아는 전분이나 지방을 충분히 소화시킬 수 없으며 타액은 소량만 생산됨

- 임신 9주경: 글리코겐 합성 및 저장

- 임신 20주경(5개월) : 양수 삼키고 위를 비움, 소장에서 연동운동이 일어남

- 임신 26~30주경: 지방 저장(외부 추위 대비)

[태변]

- 태아의 노폐물, 16주경 형성되어 장에 축적(암록색, 검은색)

- 출생 후 24시간 내 직장을 통해 배출 → 배출되지 않으며 소화기계의 폐쇄, 밀폐항문을 의심

 

①-4 <태아의 성숙> 간장계

임신 5주경 : 간과 담관 발달, 배아의 간은 복강의 대부분을 차지할 정도로 커짐

임신 9주경 : 글리코겐 합성 및 저장 → 임신말기 글리코겐 저장량은 성인의 2배

- 스트레스(자궁내 저산소증, 포도당 공급 저하, 출생시 호흡과 추위)를 받는 상황에서 중요한 에너지원

임신 12주경(3개월) : 담즙 형성(태변의 구성물)

철분 : [임부가 충분히 섭취 시] 출생 후 5개월 동안 사용할 철분을 간에 저장

* 생리적 황달

- 태반에 의해 간접빌리루빈 배설, 직접빌리루빈이 없음

- 글루쿠론산 전이효소가 출생 후 필요한 양보다 더 적게 존재

- 신생아, 미숙아에게 고빌리루빈혈증이 유발

 

①-5 <태아의 성숙> 호흡기계

배아기에 시작되어 태아기를 거쳐 아동기까지 지속적으로 발달, 출산 후 기능 시작

- 태아의 폐는 액체를 생산하여 폐포의 확장 도움, 분만 전 폐액 분비 감소

- 정상분만 중 폐액의 1/3이 빠져 나옴 → 제왕절개분만 시 호흡부전이 더 많이 발생

- 출생시 남아 있는 폐액은 출생 2시간 이내에 혈류 안으로 재흡수

- 부신피질호르몬제는  폐 성숙도를 촉진, 임신성 당뇨나 만성사구체신념은 태아의 폐 성숙을 지연

- 미숙아에게 합성 계면활성제(호흡부전 치료)를 투여하여 생존기회를 향상시킬 수 있음

임신 4주경(1달) : 호흡기계 형성 시작

임신 11주 이전(2달) : 태아의 호흡운동(fetal respiratory movements) 확인(초음파)

임신 17주까지(4달) : 기관, 기관지, 폐 형성

임신 16~24주경 : 기관지, 세기관지가 커지고 혈관구조와 원시폐포가 형성, 출생까지 더 많은 폐포가 형성

* 계면활성물질(surfactant)

- 32주 이후 태아가 생존할 정도로 충분히 발달하여 35주경에 최고조

- 레시틴(lecithin, L)은 임신 21주경 생성되어 24주 후 양적으로 증가

- 스핑고마이엘린(sphingomyelin, S)은 일정한 양이 계속 유지됨

- 레시틴과 스핑고마이엘린의 비율(L/S=2:1)을 통해 태아 폐 성숙도를 평가

 

①-6 <태아의 성숙> 신장계

임신 5주경(1개월) : 형성

임신 8주경(2개월) : 기능 시작

임신 12주경(3개월) : 소변 생성

임신 16주경(4개월) : 소변이 양수로 배출, 양수 양의 대부분 차지

양수과소증(oligohydramnios)은 태아 신장 기능부전의 지표

임신 말기 : 완전히 발달, 사구체여과율이 낮고 소변을 농축시키는 기능이 부족 → 신생아는 수분과다와 탈수에 민감

분만 전 태반이 배설, 수분, 전해질을 유지하므로 신장의 기능이 필요하지 않음

분만 후 신장에서 배설과 산-염기 조절기능을 함

출생 후 24시간 이내 소변을 봄

 

①-7 <태아의 성숙> 신경계

임신 3주경 : 외배엽에서 발달

임신 6주경(1개월 반) : 개방된 신경관 형성

임신 7주경(2개월) :  전뇌, 중뇌, 후뇌의 윤곽 형성

임신 8주경(2개월) : 뇌파가 뇌전도(electroencephalogram)를 통해 나타남, 척수가 신경관의 말단에서 발달, 신경섬유가 신체로 뻗음

임신 11~12주경(4개월) : 호흡운동 시작, 사지 움직임, 자궁 내 자세 변경, 엄지손가락 빨기, 재주넘기, 제대매듭

임신 20주경(5개월) : 태동(quickening, fetal movement) → 태아의 수면과 깨어있는 주기를 알 수 있음

임신 말기 :  태아의 뇌는 성인의 1/4 정도로 신경계 발달이 지속됨

* 감각인식

임부는 복부를 통해 태아의 움직임을 느낄 때 감각인식을 함

임신 24주경(6개월) : 소리에 반응, 음악의 장르에 따라 움직임이 달라짐, 청각은 출생 시 완전히 발달

- 어머니의 음성에 편안하게 반응, 청각적 자극이 태아의 심박동 반응을 유발

임신 20주경(5개월) : 맛을 구분할 수 있어 양수에 단 것을 첨가하면 더 빨리 삼킴

온도의 변화에 반응하여 양수에 차가운 용액이 들어가면 딸꾹질을 함

임신 28주(7개월) : 빛에 반응하며 망막에 간상체와 원추체가 모두 있음

임신말기에 임부의 복부에 밝은 빛을 비추면 태아는 빠르게 움직임

 

 

①-8 <태아의 성숙> 내분비계

임신 3~4주경(1개월) : 갑상샘(thyroid gland)이 두부와 경부의 구조에 따라 발달

임신 6주경(1개월 반) :  부신피질 형성

임신 8주경(2개월) : 갑상샘호르몬(thyroxine)과 부신피질호르몬 분비

임신 12주경(3개월) : 태아 스스로 갑상샘호르몬 생산 → 선천성 갑상샘저하증 판별검사 필요, 랑게르한섬 발달(임신 5~8주경에 췌장 형성)

임신 20주경(5개월) : 인슐린 생산

임신 말기 더 많은 코티솔을 분비 → 모체의 프로게스테론 감소 및 프로스타글라딘 생성 자극하여 분만이 시작되도록 도움

당뇨가 조절되지 않거나 고혈당 임부는 태아의 고혈당을 초래 → 고인슐린혈증, 랑게르한스샘 비후를 자극 → 거대아(macrosomic)

고인슐린혈증은 태아의 폐성숙을 방해하여 신생아 호흡부전을 일으킴

분만 시 산부의 당 공급이 저하될 때 태아저혈당을 유발

 

①-9 <태아의 성숙> 생식기계

임신 7주(2개월) : 성구별 시작

임신 9주(2개월) : 외생식기의 구분 시작

임신 12주(3개월) : 외생식기 완전히 구분

모체의 높은 농도의 여성호르몬으로 인해 신생아에게 유방종창과 유즙분비(witch's milk)가 나타나기도 함

남아

- 고환이 형성되고, 9주경 테스토스테론이 분비되어 남성생식기가 형성

- 임신 28주(7개월) 이후 고환이 음낭내로 하강

- 출생 후 테스토스테론은 사춘기때까지 지속적으로 소량 분비됨

여아

- 난소와 외생식기 형성

- 임신 16주(4개월) 이후 난자 생성, 출생 후 난자는 일생 동안 공급할 난자를 지님

- 대부분 여성호르몬 생산은 사춘기까지 지연됨

 

①-10 <태아의 성숙> 근골격계

임신 4주경(1개월) : 중배엽에서 뼈와 근육 발달, 심근 박동 시작

임신 6주경(1개월 반) : 어깨뼈, 팔, 골반, 다리의 골격근이 나타나기 시작

임신 7주경(2개월) : 근육 수축, 팔과 다리의 운동이 초음파를 통해 관찰됨

- 신경관 다음으로 척추와 늑골이 형성, 골화 혹은 뼈의 형성이 시작

- 배아기에 두개골이 발달되고, 아동기 동안 지속적으로 골화가 진행

- 천문(fontanels) : 두 개 이상의 뼈가 만나는 결합조직 부위, 분만 시 산도를 통과할 수 있도록 겹쳐짐

 

①-11 <태아의 성숙> 피부계

임신 4주경(1개월) : 외배엽의 단층세포에서 표피가 시작

임신 7주(2개월) : 표피가 2층이 되고, 표피층의 세포가 탈락되어 피지선 분비물과 섞여 태지(vernix caseosa)를 형성

태지는 임신 24주(6개월)에 두터워지다가 임신말기에 없어짐

표피의 기저층은 배아층으로 소실된 세포를 대신함

임신 16주(4개월) : 손바닥, 손가락, 발바닥, 발가락에 표피능이 생김 → 손과 발의 독특한 지문을 형성

임신 17주(4개월)까지 피부는 얇고 주름져 있으면 혈관이 보임

임신 32주(8개월) : 피하지방이 진피 아래에 축적, 피부는 주름이 덜하고 반투명이며 붉은색을 띰

임신 말기 : 피부는 두꺼워지고 모든 층이 존재, 솜털이 얇아지고 사라짐

표피의 모근에서 털이 생김

임신 12주(4개월) : 솜털(lanugo)이 눈썹과 윗입술에 나타남, 12주 이후 솜털이 온 몸을 덮고 속눈썹, 눈썹, 머리카락이 자람

임신 28주(7개월) : 머리카락이 솜털보다 더 길어짐

임신 10주(2개월 반) : 손가락과 발가락 끝의 표피에서 손톱과 발톱이 발달

임신 32주(8개월) : 손톱이 손가락 끝에 닿고

임신 36주(9개월) : 발톱이 발가락 끝에 닿음

 

①-12 <태아의 성숙> 면역계

임신 3기에 알부민과 글로불린이 태아에 존재

IgG : 태반을 통과하는 유일한 면역글로불린, 특정 세균성 독성물질에 수동면역을 획득하게 함

IgM : 태아가 임신 1기 말에 생산, 혈액의 항원, 그람음성 장내균, 일부 바이러스에 반응

IgA : 초유와 모유 전구물질에 만은 양이 포함, 모유수유를 하는 신생아에게 수동면역을 제공

 

② 선천성 질환

- 산전 유해요소에 노출되어 출생 시 나타나는 질환

- 유전, 특정약물, 환경적 요소(화학물질, 감염, 방사선 노출),모체의 조건(부적절한 영양, 당뇨병, 페닐케톤뇨증 등)

- 산전 유해요소는 배아기에 가장 영향을 미침

- 수정 후 2주간은 유산 혹은 심각한 영향을 미치지 않음

 

 

 

 


태아 건강사정

[생물리학적 검사]

임신 1기, 2기는 태아기형을 진단하는데 목적이 있고, 임신 3기는 자궁내 환경이 태아가 생존하는데 적절한지 사정하는데 있다

 

1. 초음파

음의 방향 전파가 목적물에 부딪치면서 되돌아오는 반사파와 음을 발사한 시간의 차이로 목적물의 거리와 위치를 확인

모체와 태아의 건강에 안전

질강식(vaginal) 초음파

- 골반구조에 가깝게 접근, 골반의 해부학적 구조를 좀 더 세세히 평가할 수 있음

- 이른 시기 임신진단 가능

- 방광을 채울 필요가 없어 대상자들의 불편 감소

- 복부근육층이 둩워 복부 전급이 쉽지 않은 비만 대상자에게 유용

- 임신 1기의 자궁외임신 진단, 배아의 성장과 기형 확인, 재태연령 알아보는데 유용

 

임신 시기별 산과적 초음파 적용

임신 1기 : 임신낭의 수, 크기, 위치, 태아 심장과 태동의 존재 여부, 자궁이상과 부속기 종양 여부, 임신기간, 자궁내 장치의 확인과 위치

임신 2기와 3기 : 태아의 수 및 생존 여부, 태위, 재태기간, 성장양상, 기형, 양수 양, 태반의 위치와 성숙도 정도, 자궁섬ㅇ유종과 이상, 보속기 조양의 존재 여부

 

진단 목적

태아 생존력

- 수정낭의 모양과 위치, 태아 심박동의 존재 유무

재태연령

적응증

- 최종월경일이 불확실한 경우

- 최근 경구피임약의 복용을 중단한 경우

- 임신초기에 출혈이 있는 경우

- 최소 3개월 동안 무월경인 경우

- 자궁의 크기가 임신주기수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 기타 고위험 상태

태아성숙도

적응증

- 임부의 체중증가 양상이 불량

- 자궁내 성장지연의 과거력이 있는 경우

- 만성감염이 있는 경우

- 약물복용

- 당뇨병

태아의 해부학적 평가

태반의 위치와 기능

태아의 안녕

- 양수의 양

 

 

2. 자기공명영상

3. 태아경검사

4. 양막경검사

5. 매일 태동측정

6. 태아감시와 태아 심박동 양상

7. 기타

8. 치료적 관리

 

 

 

♥주 참고자료♥

박영주 외 공저, 「여성건강간호학 II (Maternity & Women's Health Nursing)」, 현문사, 2021

더보기

♥보조 참고자료♥

네이버 지식백과 태아적아구증 [erythroblastosis fetalis]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