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고위험 분만 간호
- 대마계 관련 장애
- 동맥관
- 여성건강간호학 III
- 출생 후 순환
- 급성폐부종
- 아동 심장기능 사정
- 정신건강간호학
- 아동건강간호학
- pulmonary edema
- 확장심근병증
- 태아단락
- 제한심근병증
- 중추신경자극제 관련 장애
- 정신건강간호총론
- 체중증가와 부종
- 산소 공급장애 대상장 간호
- 심장장애 대상자 간호
- 환각제 관련 장애
- 비물질 관련 장애
- 심장장애 주관적 사짜료
- 비대심근병증
- 진정제 수면제 항불안제 관련 장애
- 주요 및 경도 신경인지장애
- 태아순환
- 심장장애 위험요인
- 목포대학교
- 신경인지장애 간호
- 흡입제 관련 장애
- 아편류 관련 장애
목록태아순환 (2)
초코파이떡

목차 Ⅰ심장 기능사정 Ⅱ 태아순환과 분만 후 변화 아동의 심혈관 질환 선천성심장병 congenital heart disease CHD 출생 시부터 가지고 있는 해부학적 기형이 비정상적인 심기능을 유발하는 것 - 임상적 결과로 울혈심부전, 저산소혈증이 나타남 후천성심장병 acquired hear disorders 출생 후 발생하는 질병과정 또는 이상 - 선천성 심장결손이나 정상 심장에서도 발생 가능 Ⅰ심장 기능사정 1. 간호력 ① 환아의 과거력 미숙아의 PDA 높음 ② 어머니의 건강력, 임신, 분만력 심장질환 출산 위험 당뇨병, 루푸스, 고연령 산모 선천성 심장결손 위험 알코올 중독, 약물남용 선천성 이상 위험 임신 초기 풍진 감염 ③ 가족력 유전 경향 10~25% ④ 염색체 이상 다운증후군, 터너증후군 ..

신생아의 생리적 특징 자궁 외 생활에 대한 적응 신생아[생후 4주 (1개월)] 자궁 외 생활에 적응하기 위해 첫 24시간이 중요(특히 1시간 → 4시간, 집중적 관찰 필요) * 중요한 생리적 변화 - 태아 또는 태반 순환(fetal or placental circulation)에서 독립적 호흡(independent respiration)으로의 전환 - 태반으로부터의 분리는 완전한 대사지지의 상실을 의미 → 산소 공급과 이산화탄소 배출의 상실 - 호흡개시 : 출생 후 30초 이내 첫 호흡이 시작 1. 호흡기계 신생아에게 가장 중요하고 즉각적인 생리적 변화는 호흡의 시작 ① 출생 시의 자극이 호흡을 시작하도록 함 화학적 자극 출생 시 무호흡 → 호흡성 산증 [pH 감소, PCO2 상승, PO2 감소] → 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