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초코파이떡

[정신건강간호총론] PART 01 정신건강간호 - CHAPTER 03 정신심리적 이해 본문

간호학과 3학년/정신건강간호총론

[정신건강간호총론] PART 01 정신건강간호 - CHAPTER 03 정신심리적 이해

초코파이떡 2023. 8. 1. 16:05
728x90

목차

Ⅰ 정신역동




1. 정신역동의 개념
2. 의식의 수준

3. 성격의 구조
4. 방어기제

Ⅱ 정신심리적 발달




1. 정신역동의 개념
2. 의식의 수준

3. 인지발달
4. 대인관계 발달
5. 분리개별화

 

 

 

 

 

 


정신역동

 

 

 

1. 정신역동의 개념

 

① 정신역동 psychodynamics

인간 내면의 정신적인 힘 psychic energy 들이 상호작용한 결과와 현상을 설명하는 개념

 

 정신적인 힘  Psychic energy

감정이나 정서와 같은 것

- 행동을 구속하고 어떤 행동을 하도록 추진

- 작용 결과 적응적 행동 또는 부적응적 행동이 나타남

→ 그 사람이 왜 그런 행동을 했을까? 왜 그렇게 느꼈을까?

→ 그렇게 행동하게 된 동기가 무엇이며, 그렇게 느낀 잉가 무엇일까?

 

 

② 정신역동적 간호의 전제

- 인간의 모든 행동은 의미가 있고 이해될 수 있다.

- 인간은 자신의 행동이나 행동에 대한 이유를 항상 인식하지는 못한다.

- 인간의 모든 행동은 변화될 수 있다.

- 인간은 변화하느냐 또는 변화하지 않느냐 스스로 선택할 권리가 있으며, 자신이 선택하는 대로 건강을 지향할 수도 있고 질병을 지향할 수도 있다.

- 인간은 건강을 지향하고 질병을 멀리 하려는 경향이 있다.

 

 

 

 

 

2. 의식의 수준

프로이트 Sigmund Freud 가 처음으로 발전시킨 지형학적 설명

 구분   의식   전의식   무의식 

 

 

의식 consciousness

물 위에 드러나 빙산의 일부분

현실원리에 의해 조절, 자아와 초자아로 구성

- 개인이 현실에서 쉽게 알아차릴 수 있고 노력하지 않고도 알게 되는 모든 활동

- 깨어 있을 때에만 작용하며 지각, 기억, 사고 감정과 관계

 

→ 논리적, 합리적, 신중하게 행동하도록 이끌어줌

 

 

전의식 preconsciousness

수면에 비치는 빙산의 부분

현실원리에 의해 조절, 자아와 초자아로 구성

- 생각과 반응이 저장되었다가 부분적으로 망각

- 마음을 집중하면 쉽게 의식에 떠올릴 수 있음

- 불유쾌한 특정 사고와 감정을 억압

 

→ 자주 사용하지 않고 필요로 하지 않는 사실들이 의식에 남아 부담이 되는 것을 방지

→ 수용할 수 없을 만큼 혼란스러운 무의식적 기억이 의식에 도달하지 않도록 도움

 

 

무의식 unconsciousness

물밑에 숨겨진 빙산의 부분

쾌락원리에 의해 조절, 이드와 초자아로 구성

- 마음의 가장 큰 부분으로 의식구조 중 가장 중요한 개념

- 전 생애 동안 경험한 모든 기억, 감정, 경험이 저장되어 있는 영역

- 의도적 회상은 불가능하나 꿈이나 스스로 인식하지 못하는 행동, 농담 등을 통해 나타남

 

→ 비논리적, 모순된 사고나 느낌을 내포, 시간 개념이 없음

→ 본능, 역동적 힘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

 

 

 

 

 

3. 성격의 구조

 구분   이드   자아   초자아 

 

① 이드 id

쾌락원리에 의해 조절, 무의식을 구성

 인간의 본능  성적 본능, 공격적 본능, 자기보존의 본능 등

- 태어날 때부터 존재하며 모든 정신력의 근원

 

→ 비언어적이고 비과학적인 1차적 사고과정

 

 

② 자아 ego

현실원리에 의해 조절, 의식과 전의식을 구성

 인격의 집행자 

- 본능의 욕구와 초자아의 억압 사이에서 조정자 역할

- 방어기제(무의식)를 활용하여 충동의 방향을 바꿈

- 과도한 불안으로부터 스스로를 보호

 

→ 논리적이고 언어적이며 욕구를 참고 지연시키는 2차적 사고과정

 

 

초자아 superego

사회적 원리에 의해 조절, 의식과 전의식을 구성

 재판관  양심

- 부모의 보상과 징벌을 통해 발달되어 온 도덕적 기준에 맞추어 행동

- 이상을 추구하며 쾌락보다는 완성을 위해 투쟁하고 옳고 그름을 판단함

 

 

* 성숙하고 잘 적응하는 사람

자아의 관리하에 이드, 자아, 초자아가 하나의 팀으로 작용

 초자아>>이드   신경증적 성격 (죄의식, 불안 등)

 초자아<<이드   반사회적 성격

 

 

 

 

 

4. 방어기제

안나 프로이트 Anna Freud에 의해 처음 사용

- 이드의 충동에 대한 초자아의 압력 때문에 발생하는 불안으로부터 자아를 보호하기 위한 기전

- 인간 심리의 보편적이고 필수적인 부분으로 대부분 무의식으로 작용

 

승화 sublimation

사회적으로 용납될 수 없는 충동이나 행위를 사회적으로 용납되고 건설적인 활동으로 바꾸는 것

 

 → 공격적인 충동을 운동으로 바꿈

→ 성적인 충동이나 폭력을 예술, 문화, 종교, 과학 및 직업으로 바꿈

 

 

억제 suppression

받아들이기 힘들거나 고통스러운 생각, 충동을 의도적으로 의식세계에서 전의식세계로 보내는 것

- 의식 포함

- 고통스러운 생각이나 충동을 의도적으로 잊으려고 노력하거나 생각하지 않으려는 것

 

→ 한밤중에 무서운 곳을 지나갈 때 무서운 생각을 하지 않으려고 유쾌한 상상을 하거나 노래를 부름

 

 

억압 represion

바람직하지 않고 용납할 수 없는 생각, 감정, 충동 등을 무의식 세계로 보내는 것

- 무의식

- 모든 방어기제의 기초가 되는 가장 보편적인 방어기제

- 죄책감이나 수치심 또는 자존심을 상하게 하는 경험일수록 억압되기 쉬움

- 억압된 생각이나 충동은 무의식에 남아 어떤 행동을 하는 데 동기로 작용

 

→ 세 살 때 기찻길에서 형과 놀던 아이가 형의 죽음을 목격한 경우 이를 기억하지 못하지만, 살아가면서 기차소리에 불안과 초조함을 느끼며 기차 외의 다른 교통수단을 이용함

 

 

전치/이동 displacement

어떤 사람에 대해 가진 적개심, 좌절 등의 감정이 그 사람보다 덜 위협적인 다른 대상에게 이동하는 것

 

→ 학교에서 선생님께 꾸중을 듣고 기분이 나빴던 것을 집에 돌아와 어머니에게 화풀이를 함

 

 

해리 dissociation

마음을 불편하게 하는 자신의 성격 일부가 그 사람의 의식적인 지배에서 벗어나, 별개의 독립적인 성격을 지닌 존재처럼 행동하는 것

 

→ 다중인격자, 몽유병, 자동증

 

 

격리 isolation

고통스러운 경험과 관련된 감정을 차단하는 방어기제

[고통스러운 경험] 의식   [경험과 관련된 감정] 무의식

 

→ 말기암 환자가 자신의 암 발병 사실에 대해서 감정이 배재된 채 무표정한 모습으로 이야기함

 

 

주지화 intellectualization

고통스러운 경험과 연관된 어려운 감정을 피하기 위해 그 경험 자체에 대해 지나치게 논리적인 사고를 하는 것

- 사고를 감정과 연결하지 않고 단지 그 상황을 인지적 수준에만 인식

 

→ 난치병에 걸린 환자가 자신의 질병에 대한 학술적인 통계치나 논문 등의 내용을 이야기하면서 자신의 감정을 보이지 않음

 

 

반동형성 reaction formation

용납할 수 없는 감정이나 충동과는 반대되는 태도나 행동을 보이는 것

- 받아들이기 어려운 감정을 억압하는 대신 그 상황에서 통상적으로 기대되는 것과 반대되는 태도나 행동을 보이는 것

 

→ 아버지를 미워하는 감정을 가진 아동이 자신의 집을 방문한 아버지에게 오히려 극진히 대접함

 

 

취소 undoing

불편했던 경험을 실제적으로나 상징적으로 지우기 위한 목적으로 특정한 행동을 하는 것

 

→ 아침에 부인과 싸운 남편이 퇴근할 때 꽃을 사가지고 감

→ 성적인 공상이나 자위행동을 많이 한 사람이 손을 반복해서 씻음

 

 

동일시 identification

다른 사람으로부터 닮고 싶은 속성이나 태도를 자기 성격의 일부로 삼는 것

- 개인이 다른 사람들과의 강한 정서적 유대감을 형성하여 만족감을 얻으려 하는 모습으로 나타나기도 함

- 주로 3~6세 사이의 아동이 부모와 같은 행동을 하려는 때부터 시작

- 자아와 초자아의 건강한 성장을 결정해 주는 가장 중요한 방어기제

 

→ 유치원에 다니는 여아는 친구들과 소꿉놀이할 때 엄마 역할을 즐기고 구두를 신거나 립스틱을 바르며 노는 것을 좋아함

 

 

함입/섭취 introjection

자신에게 중요한 사람의 성격특성, 태도, 사고방식 등을 자신의 자아구조에 융합하는 것

- 넓은 의미의 동일시에 포함되나 어린 나이, 영아가 자기와 자기가 아닌 대상을 구별하는 시기에 발달

- 어떤 생각이나 행동의 책임을 자신에게 돌리는 것으로 투사와 반대

- 아동의 도덕발달이나 가치관 형성 등에 중요

 

→ 타인에게 느끼는 감정을 표현하지 못하고 대신 그 감정을 자신에게로 돌려 자학이나 우울 등의 감정을 유발

    " 일이 이렇게 된 것은 모두 제가 잘못해서 그렇게 된 거예요."

 

 

보상 compensation

자신이 가지고 있는 실제 혹은 상상 속의 결점을 보안하기 위해 다른 부분에 전력을 다하여 자존감을 유지하려는 것

 

→ '작은 고추가 맵다'

→ 키가 작은 결함을 힘을 키워 보상하고자 하는 심리

 

 

대리형성 substitution

성취할 수 없거나 수용될 수 없는 욕구, 감정, 충동 등으로 인한 좌절감을 줄이기 위해 원래 원했던 대상과 비슷하면서 사회적으로 수용될 수 있는 대상으로 대신 만족하는 것

 

→ '꿩 대신 닭'

→ 오빠를 좋아하는 여동생이 오빠와 닮은 청년과 결혼함

 

 

분리 splitting

자신이나 타인에 대해 가질 수 있는 서로 상반된 정서나 이미지를 통합하지 못하고, 긍정적이거나 혹은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것

 

→ 비행 청소년이 자신을 꾸짖는 부모나 교사에게는 무조건 부정적인 감정이나 이미지를 가지고, 자신과 어울리는 친구들에게는 무조건 긍정적인 감정이나 이미지를 가짐

 

 

부정 denial

의식적으로 감당할 수 없는 생각과 충동이나 외부 현실에 대한 인식을 무의식적으로 회피하거나 부인하여 편안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

 

→ 큰 사고가 발생했는데도 "아무 일도 안 생긴 거지요?"라고 말함

 

 

투사 projection

어떤 생각이나 행동의 책임을 다른 사람에게 돌리는 것

 

→ 알코올의존 환자가 자신이 술을 마시는 것은 아내의 탓이라고 말함

→ 바람을 피운 남편이 아내에게 정숙하지 못하다고 함

→ 아버지에게 서운한 마음을 가진 아들이 아버지가 자신을 미워한다고 생각함

 

 

합리화 rationalization

용납할 수 없는 감정과 행동에 의식적, 사회적으로 용납될 만한 설명이나 이유를 붙여 정당화하는 것

 

 신 포도 기전 

- 바라던 것을 얻지 못했을 때 그 가치를 깎아내림으로써 마음의 평화를 얻으려는 것

→ 승진을 못한 사람이 "승진 그거 별거 아니야"라고 말함

 

 단 레몬 기전 

- 자신이 인정하고 싶지 않은 일을 억지로 받아들여야 할 때 그것이 마치 바라던 일인 것처럼 생각하는 것

→ A부서로 이동하기를 원했는데, 전혀 다른 B부서로 이동을 하게 된 상황에서 "오히려 잘 되었다"라고 말함

 

 

행동화 acting out

소망이나 충동이 즉시 만족되지 못하고 지연됨에 따라 생기는 좌절감이나 갈등을 해소하기 위해 즉각적인 행동으로 표출하는 것

 

→ 화가 나면 무조건 앞에 있는 물건을 던지거나 폭력을 행함

 

 

전환 conversion

정서적 갈등이 신체증상으로, 특히 신체감각기관이나 수의근계 증상으로 무의식적으로 표출되는 것

- 정신내적 갈등이 신체증상으로 위장되며, 심리적인 갈등을 신체증상으로 표출

 

→ 부부싸움을 한 다음에 부인의 손이 마비가 됨

 

 

고착 fixation

어떤 스트레스에 부딪힐 때 성격 발달이 그다음 단계로 진행되지 못하고, 어느 시기에 멈추어 버리는 것

 

→ 알코올의존 환자는 발단단계 중 구강기에 고착된 것으로 봄

 

 

퇴행 regression

현재의 갈등이나 고통을 감소시키기 위해 현재 겪고 있는 어려움이 없던 이전의 발달단계로 후퇴하여 의존적인 모습을 보이는 것

 

→ 6세 된 아동이 동생이 태어난 후 이불에 오줌을 싸서 기저귀를 차게 됨

→ 40세가 된 조현병 환자가 퇴행을 하여 자가간호를 하지 못하고 치료자의 도움을 받음

 

 

수동공격성 passive agressiveness

다른 사람에 대한 공격심이나 부정적인 감정을 간접적으로 표현하는 것

 

→ 상사의 업무 지시에 거부하지 못하고 꾸물거리는 행동을 하거나 중요한 것을 깜빡 잊어버리는 등의 행동으로 그 상사를 화나게 만듦

 

 

저항 resistance

불안을 야기하는 정보가 의식으로 나오게 되면 고통스럽기 때문에 의식으로 나오는 것을 막는 것

 

→ 가족 간의 갈등이 있는 환자가 치료자와 면담 시 가족과 관련된 주제에 대해 의식적이지 않지만 피하거나 기억나지 않는다고 말함

 

 

상징화 symbolization

어떤 사람이나 사물에 부착되어 있는 감정적 가치를 어떠한 상징적 표현으로 전치시키는 것

 

→ 꿈, 공상, 농담, 신화 등

 

 

 

 

 


정신심리적 발달

 

 

 

1. 정신성적 발달

프로이트의 정신분석 이론

- 모든 인간행동에는 원인이 있고, 행동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는 관점

- 억압된 성적 충동과 욕망이 대부분의 인간행동을 동기화함

→ 성격형성은 5단계를 통해 이루어짐

 

① 구강기 Oral stage [0~18개월]

 쾌감대 

 

자기애 auto-erotism

자기 손을 빠는 것으로 만족

 

신체자아

4개월 경 자신의 몸이 엄마와 다르다는 것을 인식

- 6개월 경 자아가 발달하기 시작

 

잘 지내면

의존적이지 않고 타인을 신뢰, 사교적이고 긍정적인 성격

 

과잉보호

의존적이고 준비성이 없는 성격

 

심한 좌절감

억지를 쓰고 요구가 많음, 잔인하고 욕심이 많은 성격

말로 상대방을 공격하면서 쾌감을 느끼기도 함

 

 

② 항문기 Anal stage [18~36개월]

 쾌감대  항문(대소변 조절)

대소변은 의사전달이 가능하고 보행과 괄약근 조절이 가능할 때 훈련

 

발달 저해요인

- 너무 일찍 대소변 훈련 시키거나 청결만 강조하는 경우

- 너무 무섭게 징벌적이거나 관용적이어서 전혀 부끄러움을 느끼지 않는 경우

 

잘 지내면

자율성 발달, 강한 자존심, 리더십 있는 아이

 

과잉충족 또는 좌절

강박적인 성격 → 질서정연하고 정리정돈을 잘하는 항문기적 성격

지저분하고 순종, 반항, 분노, 가학피학성, 양가감정이 심한 성격

 

 

③ 남근기 Phallic stage [3~6세]

 쾌감대  음경

정신심리적 발달단계 중 가장 중요한 시기

- 성격이 형성되고 초자아가 발달되는 중요한 시기

- 남녀 성별의 신체적 차이를 인식하고 호기심을 가짐

 

남아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Oedipus complex , 거세공포

- 이성 부모에 대한 성적 추구와 동성 부모에 대한 적대감

- 아버지를 경쟁자로 인식 → 열등감과 좌절감

- 자신의 성기를 제거당할지 모른다는 위협을 느낌

- 자기도 아버지처럼 되려는 성적동일화 sexual identification 기전에 의해 해결

 

여아

남근선망 penis envy , 엘렉트라 콤플렉스 electra complex

- 자신의 성기가 남자와 해부학적으로 차이가 나는 것을 인식 → 열등의식과 시기, 질투

- 가슴이 없는 것에 대한 불안의 원인을 엄마에게 돌리며 일시적으로 아버지를 더 좋아하게 됨

- 엄마를 경쟁자로 여기는 것을 멈추고 동일시하면서 문제의 감정 해결

 

발달과제 실패

심한 불안, 신경증, 초자아 형성 장애로 반사회적 성격형성

 

정서적 고착

노출증, 관음증 등 성생활에 장애 초래

 

 

④ 잠복기 Latency stage [6~12세]

성적인 관심이 일시적으로 잠복되어 생리적으로 노출되지 않는 시기

- 8세 이후 선악 개념 구분, 11세에 초자아가 굳어짐

- 집단활동에 관심이 집중, 교육과 경험을 통한 자아의 발전이 촉진

- 사회화 시기, 또래와의 집단형성, 지적능력 발달

 

 

⑤ 성기기 Genital stage [12~성인 초기]

청소년기, 생리적 생식이 가능한 시기

- 이성 및 성기에 대한 큰 관심, 부모로부터 독립, 성숙한 이성관계 수립

- 개인적 주체성 확립, 성인으로서 부과된 역할 수행

- 다시 수음행위를 시작하며 갈등, 죄의식, 열등감을 느낌

 

부모가 이해를 잘하고 관계가 좋으면

부모의 말보다 행동을 모델로 삼고 잘 이겨냄

 

부모가 배타적, 위압적, 냉정, 징벌적

성적 발달이 좌절되거나 잘못된 방향으로 나갈 수 있음

 

 

더보기

 프로이트 이론은 환자의 성격 형성이 어린 시절의 경험에 영향을 받았음을 제시하고 인간행동의 복잡성을 무의식에서 찾고 있다. 정신간호사는 이드, 자아, 초자아와 연관된 행동들을 의식과 무의식의 영향을 고려함으로써 환자 고통의 근본 원인에 대해 파악할 수 있도록 경청하고, 불안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하는 자아방어기제에 대해 직면의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정신 간호사에게 전이가 발생하면 이와 같은 감정을 환자를 탐구하는 데에 사용할 수 있다. 이런 탐구는 환자의 특정 감저오가 행동에 대해 더 잘 이해하도록 도와준다. 반대로 정신간호사가 환자를 보면서 역전이를 일으킬 수도 있는데 이때 정신 간호사는 자기 인식을 유지하고 치료적 관계를 진행하며 기관의 지침을 따르도록 한다.

 

 

 

 

 

2. 정신사회적 발달

에릭슨 Erikson 은 인격발달이 전 생애를 통해 이루어진다고 보며 8단계로 구분

- 각 단계마다 인생과업을 완수 →  덕목 성취

- 각 단계는 순차적으로 발생

 

① 영아기 [0~1세]

 과업  신뢰감 대 불신감   덕목  희망

어머니의 일관성 있고 예측 가능하며 신뢰성 있는 태도가 중요

 

- 인간에 대한 신뢰감이 형성되지 못하면 불신감 형성

 

 

② 걸음마기 [1~3세]

 과업  자율성 대 수치심   덕목  의지

유아가 자신감을 잃지 않고 자신을 통제할 수 있도록 지지적인 분위기를 만들어야 함

 

배변훈련에서 아동의 의지가 손상되어 자율성이 형성되지 못하면 수치심과 의심이 형성

 

 

③ 학령전기 [3세~6세]

 과업  주도성 대 죄책감   덕목  목적

행동반경이 넓어지면서 주도적으로 행동하고 목표를 정하여 추진

경쟁하며 호기심일 많고 창조적이며 부모와 동일시하는 것이 주제

아동의 성적 환상과 비도덕적 생각이나 행동을 처벌하려는 엄격한 양식에 지배되어 주도성과 죄의식이 정착

가치 있는 인간이 되기 위해 항상 무엇을 하고 경쟁해야 하는 것을 느낌

→ 주도성, 솔선감, 창의성이 형성

 

- 부모가 아동을 질책하거나 억제할 때 아동은 자신의 생각이나 활동이 나쁘다고 느끼게 되며 죄책감 형성

 

 

④ 학령기 [6~12세]

 과업  근명성 대 열등감   덕목  역량

학교에 입학하여 기술과 지식을 배우며 성공적인 경험이 능숙함과 숙달감, 근면감을 느낌

 

- 자신의 신체기술과 인지기술이 부족하다거나 과제나 부과된 일을 할 수 없을 때 열등감 형성

 

 

⑤ 청년기 [12세~18세]

 과업  주체성 대 역할혼동   덕목  충실

빠른 성적 성숙과 신체 변화가 두드러지는 시기

현재 자신이 무엇이며 장래에 무엇이 되기를 원하는가를 결정

정체감을 확립한 청소년은 자신의 신체 변화를 수용하고 사회적 위치를 인식 및 책임을 지려고 노력함

 

- 자신에 대한 개념을 하나로 통합하지 못하면 주체성과 역할에 대한 혼란을 형성

- 극단적으로 치우치면 비행이나 물질남용으로 빠질 수 있음

 

 

⑥ 성인기 [18~40세]

 과업  친밀감 대 고립감   덕목  사랑

자신과 타인의 정체감을 융합하여 타인을 이해하며 공감할 수 있게 됨으로써 친밀감 형성

 

- 친밀감을 형성하지 못하면 고립감이 형성

 

 

⑦ 중년기 [40~65세]

 과업  생산성 대 자기 침체  덕목  돌봄

친밀감이 확대되어 자녀 양육과 창조적인 활동, 직업적 성취를 통해서 생산성을 획득

 

- 생산성이 부족하면 자기 침체, 지루함, 심리적 미성숙으로 표현

 

 

⑧ 노년기 [65세 이후]

 과업  통합 대 절망   덕목  지혜

통합

인생의 한계를 받아들이고 자신도 역사의 한 부분임을 받아들이며 지혜를 갖고 지금까지 삶을 모두 통합하는 것

그동안 살아온 삶의 과정을 돌아보는 과정을 통해서 자신의 인생이 보람되었다고 느끼면서 자아통합을 이룸

 

- 자아통합을 하지 못하면 자신의 인생에 대해 후회하게 되고 절망감을 형성

 

 

더보기

 에릭슨의 성격발달이론에서는 사회문화적인 개념들을 포함하여 전 생애를 8단계로 나누고 각각의 단계 동안 완수되어야 할 특정한 과업들의 개요를 제시했다. 단계별로 명확히 구분되지 않는다는 비판도 있지만 이는 환자를 사정하는 데 있어 필수적인 요소로 활용할 수 있으며, 환자가 각 발달단계의 과업을 완수하여 상위의 발달단계로 넘어갈 수 있도록 단계별 중재계획을 세울 수 있다.

 

 

 

 

 

3. 인지발달

피아제 Piaget 는 인지를 역동적인 과정으로 보고, 아동의 지적능력과 인지기능이 어떻게 발달하는지 설명함

인간의 인지발달과정은 연령이 기초하여 일련의 단계를 거치면서 진행되고, 생리적인 변화와 성숙이 인지발달의 원인이라고 믿음

 

인지

의미를 해석하는 능력, 문제해결, 정보의 합성 및 논리적 분석 등을 의미

 

 

① 감각운동기 Sensorimotor stage [0~2세]

- 출생 후 환경으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자신에 대한 감각 발달

 

 대상영속성 

생후 약 9개월, 사물이 시야에서 사라지더라도 계속 존재한다는 개념

 

 

② 전조작기 Preoperational stage [2~6세]

어떤 규칙이나 조작을 이해하지 못하지만, 언어를 사용하고 심사오가 단어로 대상을 표현하는 것을 배움

- 직관적 판단을 사용하여 눈에 보이는 대로 판단, 추리는 사용할 수 없음

- 자아중심적 사고, 상징적 활동

 

 물활론적 사고 

모든 움직이는 것은 살아있다고 생각하는 것

 

 

구체적 조작기 Concrete operational stage [6~12세]

구체적인 대상에 대해 체계적이고 논리수학적 사고 구조로 조작 가능

- 탈자아 중심적인 사고, 서열화 능력, 분류 능력

 

 보존 개념 

양을 보태거나 빼지 않으면 형태는 달라져도 양은 변하지 않는다는 개념

 

 

④ 형식적 조작기 Formal operational stage [12세 이후]

추상적 문제해결의 논리적 추리능력이 생기는 단계

- 자아 중심성(현실 세계 무시, 이상 세계에 몰두), 연합적 사고와 연역적 사고 모두 가능

- 일반적 사실에서 특정한 사실에 도달 가능

 

 

더보기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에 대한 이해는 연령에 기초하여 인지기능을 사정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인지 수준에 따른 정신간호 중재방안을 모색할 수 있게 한다. 간호사는 인지 자극 활동을 설계하고 의미 있고 적절한 교육을 계획하기 위해 아동의 사고과정을 반드시 이해해야 한다.

 

 

 

 

 

4. 대인관계 발달

설리반 Sullivan 은 인간의 성격이 타인과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한 대인관계에서 발달된다고 봄

성격의 구조에서 역동성, 인격화, 인지과정을 중요한 개념으로 설명

 

 역동성 

개인이 보이는 습관적 태도나 감정, 행동

비교적 지속적인 유형을 갖는 인간행동의 최소 단위

 

 인격화 

개인이 자신이나 타인에게 갖는 상

욕구의 만족이나 불안의 경험에서 나오는 감정, 태도, 개념들의 복합체

- '좋은 나, 나쁜 나, 내가 아닌 나'로 구분

 

좋은 나

- 타인으로부터 보상이나 평가로 인해 얻어지는 자기상

 

나쁜 나

- 타인으로부터 불안을 유발하는 정도가 증가하는 상황에서 형성

 

내가 아닌 나

- 극도의 긴장과 불안, 공포의 관계된 경향 속에서 얻어진 자기상

- 병적인 수준의 심각한 상

 

 인지과정 

사람이 외부세계와 접촉하여 얻은 지식

한 개인의 인지내용이 사실과 다른 경우가 많기 때문에 거기서 긴장이 생기고 불안이 조성되어 심리적 불균형을 경험

 

 

① 영유아기 [0~18개월]

아동에게는 수유가 인가 최초의 대인관계 경험이 되며 필요한 것을 받음으로써 아이는 믿음을 배움

 

 

② 아동기 [18개월~6세]

놀이친구를 필요로 하며 언어발달이 종합적 경험의 조작을 가능하게 함

 

 

③ 소년기 [6~9세]

가족 외의 권위자에게 복종하는 경험을 쌓고 경쟁적·협조적 태도를 배우며 집단의식의 의미와 사회적인 개념을 배움

 

 

④ 전청소년기 [9~12세]

동성의 친구와 친교 욕구가 특징이며 타인과 순수한 대인관계를 맺기 시작함

 

 

⑤ 초기 청소년기 [12~14세]

사춘기의 생리적 변화로 인해 성적인 욕구를 경험

다양한 감정 경험에서 욕망의 역동이 나오고 그것이 성격 발달에 영향을 주어 이성 간의 관계 발달을 유도

 

 

⑥ 후기 청소년기 [14~21세]

선택적인 성적 활동의 형성에서부터 여러 교육적 단계를 거쳐 개인적·문화적으로 완숙한 개인이 되어 성숙한 대인관계를 확립할 때까지의 시기

 

 

⑦ 성인기 [21세 이후]

행복감을 느끼가 자아인식을 하고 자아존중을 할 수 있는 인간으로서 성숙한 인간관계의 능력을 가질 수 있는 시기

 

 

더보기

 정신간호사는 환자가 타인과 성공적으로 상호작용하는 능력을 일반화시킬 수 있도록 간호사에게 대인관계적 안정감을 느끼는 환자와의 1:1의 치료적 관계를 형성하도록 한다. 그리고 1:1의 관계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소그룹, 대그룹 활동을 통해 건강한 상호작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돕는다.

 

 

 

 

 

5. 분리개별화

말러 Mahler 는 발닥적 측면에서 어머니와 아이의 상호작용을 가장 확고하게 제시

인간이 최초로 사랑했던 어머니라는 대상에서 떨어져 나오는 심리 과정

 

① 정상자폐기 Phase of normal autism [0~1개월]

모든 외부세계를 인식하지 못하고 자신으로 여기는 시기

주로 리비도적 욕구와 긴장 감소에 집중

 

 

② 공생기 Symbiotic phase [1~5개월]

모자가 공생하는 시기로 이중적 단일체 상태로 기능

어머니의 존재가 없거나 거절을 느끼면 공생 정신증 symbiotic psychosis 이 초래

 

 

③ 분리개별화 시기 Separation individuation phase [5~36개월]

자아 영역이 독립되면서 신체적·정신적으로 분리되어 개별화가 이루어짐

 

 제1분기 분화분기 [~10개월] 

- 모자공생의 알을 깨고 껍질 밖으로 나오는 부화의 시기

- 영아는 의식적인 인지가 가능해지면서 주위의 환경에 관심을 갖고 조금씩 어머니의 품에서 벗어나려고 시도

- 양육자와 타인에 대한 차별화된 반응으로써 낯가림이 나타남

 

 제2분기 실행분지 [~16개월] 

- 어머니 대신 다른 것과 관계를 맺는 데 마음을 쏟음

- 직립보행이 가능할 뿐 아니라 외부세계를 탐색하게 됨

 

 제3분기 화해분기 [~24개월] 

- 어머니 몸과 자기 몸이 분리되어 있음을 확실히 아는 시기

- 분리불안이 심해지며 말로 자기 의사를 표현해야만 이해해 준다는 것을 알게 됨

 

 제4분기 통합분기 [~36개월] 

- 한 인간으로서 좋은 점, 나쁜 점을 모두 갖춘 어머니를 내면화시켜서 자신과 분리된 사람으로 지각하게 됨

- 최종적으로 안정된 자기개념과 대상 향상성으로 구성된 자아정체감을 알게 됨

 

 

더보기

 말러의 분리개별화 단계에 대한 이해는 정신간호사가 환자의 겨별화 수준을 사정하는 데 도움이 된다. 화해분기 단계에 고착되어 있는 아동이나 청소년 환자의 경우 버림받을 것에 대한 불안, 내재된 분노가 있을 수 있으며 품에 안길 정도로 친근하게 다가왔다가 갑작스럽게 멀리하는 경우도 있다. 이때 정신간호사는 대상자가 편안하지 않다는 것을 인식하고 통합분기에 도달할 수 있도록 돕고 의존적이거나 극도록 불안한 환자의 경우 장기간 부모와 떨어져 있는 치료활동을 최소화하여 편안함을 느낄 수 있게 한다.

 

 

 

 

 


♥주 참고자료♥

김성재 외 공저, 「정신간호총론(PH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수문사, 2023

더보기

♥보조 참고자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