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초코파이떡

[정신건강간호총론] PART 01 정신건강간호 - CHAPTER 01 정신간호의 이해 본문

간호학과 3학년/정신건강간호총론

[정신건강간호총론] PART 01 정신건강간호 - CHAPTER 01 정신간호의 이해

초코파이떡 2023. 6. 23. 17:18
728x90

목차

Ⅰ 정신건강과 정신장애



1. 정신건강의 개념
2. 정신장애의 개념


Ⅱ 정신간호의 이해



1. 정신간호 원리
2. 정신간호사의 역할
3. 정신간호의 연속성

Ⅲ 정신간호의 발전



1. 정신질환 치료의 역사
2. 새로운 치료의 등장
3. 정신간호의 역사
4. 정신간호의 전망

 

 

 

 

 


정신건강과 정신장애

 

 

1. 정신건강의 개념

 

① 개념

 세계보건기구  WHO, world health organization

건강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안녕한 상태

 

정신건강 

- 자신의 능력을 실현

- 일상적인 삶의 스트레스에 대처

- 생산적으로 활동

- 지역사회에 기여

 

 

②  정신건강 평가기준 

 마리 야호다  Marie Jahoda

자신에 대한 긍정적 태도

자기 이해, 자기 수용, 자기 개방

→ 자신을 정확히 이해 및 인정하고 받아들이며, 타인에게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솔직히 보여줄 수 있음

 

성장, 발달, 자기실현

자신의 잠재력 개발과 실현

"자아실현"  "충분하게 가능하는 사람"  → 정신적인 건강은 항상 새로운 성장과 발달, 도전을 추구하는 것

 

통합

내·외적 갈등, 기분과 정서조절, 외적인 표현과 내적인 억압의 균형

→ 일관된 가치가 반응의 연속성을 나타냄

→ 개인이 스트레스와 불안에 대응하는 능력을 통해 측정 가능

 

자율성

스스로 의사결정과 행동 조절

→ 자기결정, 행동, 사고, 감정 등에 대한 책임을 지는 것

→ 타인의 자율성과 선택의 자유도 존중 가능

 

현실지각

현실 인지 능력

→ 어떻게 현실을 파악하고 어떻게 행동하는가?

→ 공감능력, 사회적 민감성, 타인의 감정과 태도에 대한 존중 등 포함

→ 정신적으로 건강한 사람은 자신의 지각을 새로운 정보에 따라 변경 가능

 

환경의 지배

자기의 주변 환경을 지배

→ 사회에서 기대하는 역할을 성공적으로 수행

→ 환경에 효율적으로 대처하며 다양한 문제들을 적절하게 해결

→ 타인을 사랑하고 다른 사람들로부터 사랑을 받으며 호혜적 관계를 가짐

→ 만족스러운 집단생활

 

 

 

 

 

2. 정신장애의 개념

 

① 개념

 미국정신의학회  APA, american psyciatric association

 

정신장애

현존하는 고난, 불능 혹은 확연하게 증가된 죽음의 가능성, 통증, 무능, 현저한 자유의 상실 등과 관련해 개인에게 임상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는 행동 및 심리적 증후군 또는 양상

 

 

② 정신장애 특징

- 갑자기 발병하지 않고 병리적 현상이 장기간 지속적으로 진행

- 개인, 가족, 지역사회의 다양한 측면에서 부조화 초래

→ 개인적, 대인관계적, 사회문화적 범주 안에서 정신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포괄적으로 해석해야 함

 

 

③ 정신장애의 진단 및 통계편람

 국제질병분류  ICD, international clasification of disease

WHO에서 제정하여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진단 분류체계

 

 정신장애의 진단 및 통계편람  DSM,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미국정신의학회가 개발한 정신질환 진단 분류체계

- 현재 수정·보안을 통해 2013년 DSM-5가 발표되어 상용

[진단기준의 구분]  중증도 severity, 경증 mild, 중등도 moderate , 중증 severe

 

 

 

 

 


정신간호의 이해

 

 

1. 정신간호 개요

 

① 정신간호(psychiatric-mental health nursing)

 정신간호의 목적, 인간행동 이해의 배경, 간호원리, 간호과정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할 수 있음

- 간호 분야에서 인용되는 과학적 근거에 의한 인간행동 이해

- 일반간호와 특수간호의 지식과 기술이 융합되어 수행

 

 

② 정신간호의 목적

- 대인관계 유지·증진, 정신사회적 기능 유지·증진 및 관리
- 심리사회적 독립심 증진, 자존감의 강화·유지, 치료적 환경유지와 관리

→ 신체적, 심리적, 정신적, 영적 고통을 경험하고 있는 대상자 돕기

→ 지역사회의 모든 대상자와 그 가족의 정신건강을 최적의 상태로 증진

→ 정신질환 예방

 

 

③ 목적에 따른 분류

 정신질환간호  psychiatric nursing

확인 가능한 정신질환이나 장애가 있는 사람들을 간호

 

 정신건강간호  mental health nursing

개인의 정신건강 유지·증진을 위한 예방 및 재활을 목적으로 하는 간호

 

 정신사회간호  psychosocial nursing

인간의 정신, 심리, 사회 측면의 건강간호를 수행하는 간호

 

 지역사회 정신건강간호  community mental health nursing

집단의 역동성과 정신건강의 관계 또는 지역사회의 정신 현상에 관한 연구와 간호를 주요 과제로 하는 간호

 

 

 

 

 

2. 정신간호 원리

 

① 자기인식 Self-awareness

간호사는 대상자를 이해하기 앞서 자신을 먼저 이해해야 함

자신의 가치, 신념, 사고, 감정, 태도, 편견, 강점, 제한점 등 → 대상자에게 미치는 영향은?

→ 자기 자신이나 다른 사람의 선입견과 반복적인 행동 인지 가능

→ 대상자의 생리적, 심리적, 사회문화적 욕구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일 수 있음

→ 대상자의 불안, 분노, 슬픔 등을 대상자 입장에서 다룰 수 있음

 

 

② 치료적인 자기이용 Therapeutic use of self

자신의 인격, 경험, 가치, 지식, 적응기술 등을 활용하여 자신을 치료적 도구로 사용

→ 대상자의 성장, 변화, 치료에 도움이 되도록 하기

 

 

③ 상호작용 Nurse-client interaction

 대상자-간호사 관계 

관계형성의 핵심 요인

진실성, 존중성, 공감성, 구체성, 윤리의식, 책임감

 

간호사의 책임

대상자-간호사 관계를 수립·유지·종결

 

관계의 발전

상호작용 전 단계 → 초기단계 → 활동단계 → 종결단계

 

 목적 

대상자가 기본적 욕구를 만족할 수 있도록 돕는 것

만족을 얻기 위하여 효과적으로 행동하는 방법을 발견하도록 돕는 것

→ 적절한 중재는 대상자가 건강하고 성숙한 행동 양상을 학습하고 발달시킬 수 있도록 도움

 

 

④ 간호과정 Nursing process

간호에 적용된 과학적 문제해결방법으로 간호성과를 성취하기 위한 체계적이고 개별화된 방법

 

 단계  

사정-진단-계획-수행-평가

- 단계들은 중복되어 일어나기도 하고 동시다발적으로 일어나기도 함

- 간호과정의 적용에 있어 간호사와 대상자 간의 치료적 관계는 매우 중요한 치료적 도구

 

 

 

 

 

3. 정신간호사의 역할

 

① 종류

넓은 의미 : 일반간호사와 정신건강간호사 자격증을 가지고 근무하는 간호사 등

좁은 의미 : 정신건강 분야에서 근무하는 일반간호사

 

 정신간호사  General nurse

대학에서 교육받고 졸업한 후 정신건강 분야에서 근무하는 일반간호사

 

 정신건강간호사  Certified nurse

1년의 소정과정을 이수하고 정신건강복지법에 의한 정신건강간호사 자격증을 취득한 자격간호사

- 지역사회의 정신질환자를 위한 일차 건강관리자

- 지역사회 정신건강복지센터와 정신재활시설에서 정신건강전문요원으로 활동

→ 정신건강전문요원 중 유일한 의료인

 

 정신전문간호사  PMHNP,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e practitioner

석사학위과정 이상의 지식 및 충분한 경험을 가진 전문간호사

- 국제간호협의회(ICN)가 인정한 전문간호사

- 임상을 포함한 모든 분야에서 정신질환자를 대상으로 일차치료를 제공

 

 

 

② 정신간호실무

 정신간호 내 규칙과 책임기전 

- 정신간호사에게 어떤 기능이 중요하게 여겨지고 어떻게 해야 하는지 알려줌

 

가장 중요한 5가지 기능

- 대상자의 위기에 반응

- 대상장의 정서적 욕구 사정

- 대상장의 공황을 제거하기 위한 중재

- 대상자의 치료효과 사정

- 대상자의 권리 보장

 

 

③ 정신간호 실무표준

 목적 

보다 양질의 간호제공이라는 전문직의 의무를 수행하는 것

 

 정신간호 실무표준 

- 간호과정 기본 틀에 근거한 사정, 진단, 계획, 중재, 평가를 포함

→ 중재는 특수 중재와 정신간호사가 일상적으로 수행하는 간호활동 포함

- 간호과정 이외 전문직으로서 수행해야 할 표준은 이론의 사용, 동료평가, 계속교육, 전문직 간의 협동, 대상자 옹호 등

 

 

 

 

 

4. 정신간호의 연속성

 정신간호사 

- 간호의 연속성 continuum of care 안에서 대상자의 현재 증상·징후에 적절하고 폭넓은 간호를 제공

- 대상자의 요구나 건강 문제가 달라질 때마다 간호의 연속성 안에서 대상자에게 필요한 간호를 조정

- 간호 조정은 다학제 간의 협력이 필요 → 전문인력 및 비전문가를 포함

 

 

① 사정

- 실제적·잠재적 정신건강 문제가 의심된다면 실제로 문제가 존재하는지 확인

 문제가 없다면  정신건강 유지·증진 간호 제공

 문제가 있다면  위험사정

 

 

② 위험사정

- 자해, 타해, 자살 또는 급성이나 중증의 정신장애가 있는지 확인

 위험이 없다면  지역사회 정신건강관리서비스 제공

 위험이 있다면  입원치료

 

 

③ 지역사회 정신건강관리

- 1, 2, 3차 예방 및 사례 관리

- 정신건강 유지·증진 간호 제공

- 대상자에게 주거서비스, 외래진료, 직업재활, 자조모임, 다양한 자원 등을 제공

 

 

④ 입원치료

- 입원치료 후 대상자의 퇴원교육에서 다양한 지역사회 정신건강관리서비스를 설명하고 연계

 

 

 

 

 


정신간호의 발전

 

 

1. 정신질환 치료의 역사

 

① 원시시대

정신질환은 외부로부터 온 초자연적인 힘에 의해 생긴 것

→ 초자연적인 영향력은 신이나 악령 등

[치료] 굿, 주문, 부적, 귀신 쫓기 등 마술적 내지 종교적 의식

 

 

② 고대그리스-로마시대

 플라톤  Platon 

"몸과 마음은 분리될 수 없고, 건강은 정신과 육체의 조화에서 이루어진다."

 

 아리스토텔레스  Aristoteles

"인간의 감정과 영혼의 중심기관은 심장, 지성은 뇌 및 신경계와 관계가 있다."

 

 갈렌  Gallen

신경계의 해부생리 연구

지능, 감정, 기억의 중심부는 뇌

 

 

③ 중세와 르네상스 시대  (14~16세기)

 정신의학 쇠퇴기 

원시개념 성행: 정신질환은 초자연적인 힘이나 악령

정신질환자는 마녀와 동일시

→ 연기에 그을리기, 족쇄, 매질, 굶김

 

 웨이어  Weyer

귀신학을 반박하여 최초로 귀신학에서 심리학을 분리

 

 베들레헴의 성마리구빈원 

정신질환자와 일반 부랑자 수용

→ 인간적 대우나 치료는 없음

 

 엘리자베스의 빈민법 

지역사회에 정신질환자를 돌보아야 하는 책임이 주어짐

→ 정부가 간호를 제공하기 시작

 

 

④ 17~18세기

 정신질환자 수용소 

- 정신질환자를 인도주의적으로 처우하는 도덕적 치료 시작

 

 피넬  Pinel

도덕적 치료의 대표적 인물

- 환자의 족쇄를 풀고 친절과 이해로 환자를 치료함

- 처벌 대신 햇빛과 신선한 공기, 깨끗한 환경, 작업치료와 산책을 권함

 

 

⑤ 19~20세기

과학 발달과 더불어 질병 연구에 있어 임상적, 병리학적 방법이 주류를 형성

 

 크레펠린  Kraepelin

정신의학의 학문적 기초에 광범위함 영향을 준 사람

- 정신의학의 체계와 질서

→ 정신장애를 원인, 발병기전, 병리, 임상증상, 경과 및 예후 별로 기술

→ 오늘날의 조현병을 조발성 치매 dementia praecox 라고 명명

 

 

⑥ 역동정신의학

 메스머  Anton Mesmer

역동정신의학의 근원

동물 자기설 : 무형의 전류 흐름을 조절하여 병을 고침

→ 영국인 외과의사인 브레이드가 최면술을 개발하는데 영향을 줌

 

 프로이트  Sigmund Freud

정신분석: 자유연상법(free association)과 꿈 분석에 의한 치료방법 개발

[성격 구조] 이드 id, 자아 ego, 초자아 super-ego 로 구분

- 성격 발달은 정신적 발달을 중심으로 단계적으로 진행

- 정신질환은 원인은 인생 초기의 억압된 심임성 원인임을 강조

 

 블로일러  Eugen Bleuler

조현병 schizophrenia 이란 용어를 처음 사용

 

 융  Carl Gustav Jung

분석심리학을 창시

- 프로이트의 리비도설에 대한 다른 견해 주장

→ 리비도를 생명의 모든 정신적 에너지를 포함하는 생명력으로 해석

 

 아들러  Adler

권력의지를 중심으로 한 목적론적인 개인심리학 주장

- 프로이트 제자

 

 호나이  Karen Horney

프로이트의 여성 심리에 대해 많은 이의를 제기

 

 설리반  Harry stack Sullivan

정신간호의 할머니

대인관계이론: 치료자와 대상자의 대인관계가 치료와 회복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침

 

 프롬  Erich Fromm

사회심리학자

인간의 성격형성에 대한 사회문화적 요소를 중요시함

 

 안나 프로이트  Anna Freud

아동을 대상으로 정신분석 연구

- 프로이트의 딸

 

 

 

 

 

2. 새로운 치료의 등장

 

① 생물학적 치료

 인슐린 충격치료  insulin shock therapy

샤켈 Sakel 에 의해 발견

제2차 세계대전과 1940년 후반기에 불안치료와 식욕부진 환자의 식욕을 증진시키기 위한 치료로 사용

 

 메트라졸 경련치료 

메두나 Meduna 에 의해 발전

 

 전기경련치료  electroconvulsive therapy

세르레티 Cerletti 와 비니 Bini 가 도입하여 현재까지 사용

 

 정신병치료 약물의 발견 

클로르프로마진(chlorpromazine)이 정신질환 치료에 효과가 있음을 발견

이후 항우울제, 항불안제, 항조증제 등의 항정신병약물을 발견

정신약물학의 발전과 뇌신경전달물질의 발견 → 정신병의 생물학적 원인에 관한 연구에 기여

 

 

② 지역사회 정신보건운동

 정신보건법 

미국에서 1946년 제정

- 연방정부 산하에 미국국립정신보건연구원을 설립

→ 연방정부 예산으로 정신건강전문요원 훈련, 정신보건 분야의 연구 지원, 정신보건사업계획 및 개발을 위한 보조금 지원

 

 정신질환 치료의 변화 

정신약물의 발견, 정신질환에 관한 사회적 관심, 정신보건법 제정 → 탈원화와 치료공동체 운동

[병원치료 → 지역사회]     [다수의 환자의 획일적 치료 → 소수의 환자와 다양한 치료진]

 

 

③ 한국 정신질환치료의 역사

 한의학과 민간요법 
고대 중국문명의 영향

현재까지도 일부에서는 귀신학에서 비롯된 민간요법이 시행

 

 광혜원 

1885년 설립된 왕립병원

 

 정신병학 강의 

1907년 대한의원 관제가 발표되어 교육부가 생긴 후 일본 사람에 의해 실시

 

 정신과 병동 

1913년 최초로 신설되어 정신병 환자 진료

 

 신경정신과학 교실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날 때까지 경성제국대학(현 서울대)에만 정신과 교실이 존재

6·25 전쟁 이후 각 대학에 신경정신과학 교실이 신설

 

 정신건강증진 및 정신질환자 복지서비스 지원에 관한 법률 

1995년 12월 31일 정신보건법 제정

1997년 ~ 2016년까지 정신질환자의 인권보장을 주 내용으로 총 19차례 개정 및 명칭 변경

2017년 개정되어 '한국정신보건전문요원협회'가 '한국정신건강전문요원협회'로 명칭 변경

 

 

 

 

 

3. 정신간호의 역사

 

① 한국 정신간호의 역사

 항정신병약물 

1953년 개발되어 환자의 흥분과 공격행위가 감소

→ 정신간호의 기능은 보호관리에서 점차 일반적 신체간호, 환자관찰, 투약 등으로 변화

 

 미국 정신의학의 영향 

1960년대 중반부터 인슐린 치료는 거의 사용하지 않음

환경치료와 활동치료를 도입 → 간호사가 치료자 역할을 담당

 

 정신간호학회 

1971년 창립되어 1992년부터는 「정신간호학회지」가 발간

 

 정신보건법 

1995년 제정

정신보건간호사 자격증:  정신보건간호사 수련과정 신설(이론 150시간, 실습 850시간)

[입원 위주의 정신질환자 치료 및 관리] → [지역사회 정신보건의 개념]

 

 정신건강증진 및 정신질환자 복지서비스 지원에 관한 법률 

2017년 '정신보건법'의 명칭이 개정

'정신보건간호사'의 명칭이 '정신건강간호사'로 변경

 

 정신건강간호사 수련과정 

2018년 전국 34개 기관에서 개설

 

 

② 미국 정신간호의 역사

 전문직 정신간호사 

19세기 말에 출현하여 20세기에 이르러 고유의 역할과 기능을 가진 전문 영역으로 발전

 

 간호서비스와 교육 프로그램 

1873년 리차드 Richard 가 일리노이주립 정신병원에서 개발

 

 정신간호사 양성 학교 

1882년 맥크린 병원에 처음으로 개설

 

 정신간호 교육과정 

1913년 존스홉킨스가 간호학교에서 개발하여 간호교육에 적용

 

 태도 치료 

1947년 웨이스 Weiss 가 설명

 

 간호요법  nursing therapy

1951년 멜로우 Mellow 는 조현병 환자에게 수행한 업무에 대해 기술함

 

 대인관계간호 

1952년 페플라우 Peplau 가 발간

정신간호에 대해 최초로 체계적이고 이론적인 기틀을 개발

 

 정신전문간호사 

1980년 대에 정신전문간호사의 대두는 미국정신간호에 획기적인 변화를 가져옴

 

 

③ 아동청소년 정신간호의 역사

19세기 초부터 아동이나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관한 치료나 연구가 시작

- 정신분석, 교육, 심리, 비행청소년 지도 영역에 기초해서 발달

 

 보스턴 대학교 

1954년 아동정신간호 프로그램 개설

1956년 전문간호사 프로그램 개설

 

 국내 

1979년 서울대학교병원에 소아정신분과 개설 → 아동 정신간호에 대한 틀

1985년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에 소아·청소년 정신과병동 개설 → 본격적인 체계화

 

 

 

 

 

4. 정신간호의 전망

 

① 정신보건 환경

다양한 사회구조의 변화로 인해 국가적 대처방안의 증진이 요구

 

 

② 제4의 정신치료적 개혁

정신보건 관리체계는 예방과 사회적 치료를 강조하는 인간 서비스로 변화

체계적인 통합, 포괄적 접근성, 개별적 서비스 제공, 보편적 조력활동, 서비스 제공자의 책임 강조

 

 

③ 지역사회 정신건강

1차 예방 : 정신건강증진

2차 예방 : 조기발견과 조기치료

3차 예방 : 재활치료 강조

 

 

④ 정신건강간호사

지역사회에서 활동하는 정신건강간호사의 인력 수급에 대한 계획

근무환경 및 처우개선에 대한 대책

 

 

 

 

 


♥주 참고자료♥

김성재 외 공저, 「정신간호총론(PH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수문사, 2023

더보기

♥보조 참고자료♥

 

반응형